
파월 미국 연준 의장 [자료사진=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6일(현지시간) 시카고 이코노믹클럽 연설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예상보다 높은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해 강력히 경고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 인상이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제성장 둔화라는 이중고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는 최소한 일시적으로 인플레이션의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단언하며, 현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그만큼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그는 이러한 상황이 연준의 양대 정책 목표인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 사이에 긴장 관계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준의 정책 딜레마는 관세가 경제에 미치는 독특한 영향에서 비롯된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둔화하면 물가도 낮아지고 실업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로 두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지만, 관세는 물가와 실업률을 동시에 상승시키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파월 의장은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도구(기준금리 변경)는 같은 시점에 두 개(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 중 하나만 달성할 수 있다"고 명확히 했다.
특히 파월 의장은 관세가 "아마 올해 내내 우리를 목표 달성에서 더 멀어지게 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면서도, 당장은 통화정책 조정을 고려하지 않고 경제 상황을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로서 우리는 정책 입장에 대한 어떤 조정을 고려하기 전에 더 많은 명확성을 기다리기에 좋은 위치에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연준은 지난 3월 19일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나, 시장에서는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연말까지 금리를 0.25%포인트씩 서너 차례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일시적일 수 있지만, 코로나19 시기 반도체 부족으로 자동차 가격이 장기간 상승했던 사례를 언급하며 공급망 차질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한편, 증시 급락 시 연준의 시장 개입을 기대하는 이른바 '연준 풋'에 대한 질문에는 단호히 "아니다"라고 답했으며, 세계적인 달러 부족 상황에 대비해 외국 중앙은행들과의 통화 스와프 체결을 통해 달러 공급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파월 의장의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가져올 수 있는 경제적 리스크에 대한 강력한 경고로, 향후 미국 경제와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