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연합뉴스]

최근 식품 기업들의 잇따른 가격 인상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단체가 식품 기업들을 향해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28일 성명을 통해 "식품 기업들이 3∼4월 잇따라 식품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환율과 국제 식량 가격 상승을 근거로 내세웠지만, 이는 소비자 부담을 외면하고 이윤 확대를 위한 변명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녹색소비자연대 등 10여 개의 소비자단체로 구성된 협의체로, 이들은 코코아와 원두 등 일부 원재료 가격이 상승한 것은 사실이지만, 밀가루와 식용유, 옥수수 등 대부분의 원재료 가격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하락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부가 식품업계의 원가 부담 완화를 위해 코코아생두, 커피농축액, 설탕 등 13개 품목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수입 부가가치세 면제, 원료 구입 자금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품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강행하는 것은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협의회는 주요 식품 기업들의 작년 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매출원가 증감률이 총 매출액 증감률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아 원가 부담이 크지 않았다고 밝혔다.

실제로 남양유업, 동서식품, 롯데웰푸드 등 주요 식품 기업들은 매출원가율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양유업의 경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86.3%나 증가한 것으로 드러나 소비자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소비자단체는 "K푸드의 해외 인기로 식품 기업들의 실적 호조가 예상되고 주가도 오르는 상황에서 연쇄적인 가격 인상은 타당성이 부족하고 소비자들이 납득하기 어렵다"고 비판하며,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기업을 다각적으로 지원하고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 인상 행렬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소비자단체는 정부를 향해 "물가 안정에 동참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세제와 관세 혜택을 철저히 재검토하여 실질적인 소비자 혜택 중심의 지원 정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식품 기업들을 향해서는 "도미노 가격 인상이 얼어붙은 소비 심리를 더욱 위축시킬 것"이라며 "지나친 가격 인상을 중단하고 원재료 하락분을 반영하여 제품 가격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돌려 소비자 신뢰 회복과 가격 안정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번 소비자단체의 강력한 비판은 최근 잇따른 식품 가격 인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비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한 것으로, 향후 식품 기업들이 어떤 대응을 보일지 귀추가 주목된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