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자료사진=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오는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미국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을 '지저분한 15'(Dirty 15)로 지목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주요 무역국들에 미칠 영향이 주목되고 있다.
스콧 베선트(Scott Bessent) 미국 재무부 장관은 18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4월 2일에 다른 나라들에 대한 관세 명단을 내놓을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베선트 장관은 각 국가에 적용될 상호관세율이 국가별로 상이할 것이며, 일부 국가는 낮은 관세율을 받을 수 있는 반면, 일부 국가는 상당히 높은 관세율이 부과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가 약간의 흑자를 보지만 우리와 교역을 별로 하지 않는 큰 그룹의 국가들이 있다.
그리고 우리가 '지저분한 15'(Dirty 15)라고 부르는 국가들이 있는데, 이들은 미국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며 특정 국가들을 직접적으로 지목했다.
미국이 명명한 '지저분한 15' 국가들은 미국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로 추정된다.
베선트 장관은 이러한 국가들이 관세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관세 장벽을 통해 미국 상품의 시장 접근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들 국가가 일정량의 자국 생산을 요구하거나, 미국이 수출하려는 식품이나 제품에 대해 안전과는 무관한 검사를 요구하는 등의 방식으로 비관세 장벽을 적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미국 기업들의 해외 시장 진출에 상당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 조치로서 상호관세율을 조정하겠다는 의지를 시사한 것이다.
한국이 '지저분한 15'에 포함될 가능성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미국과의 무역 관계를 고려할 때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로서, 현재 양국 간 무역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한국을 상호관세 조정 대상으로 삼는다면 한국 기업들의 대미(對美) 수출 환경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한국의 자동차, 반도체, 철강 등 주요 산업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미국의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또한 미국이 상호관세율을 인상할 경우, 한국 정부는 대응책을 마련하고 미국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내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이번 조치는 글로벌 무역 환경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 '지저분한 15' 국가에 대한 높은 상호관세율을 발표하면 해당 국가들은 반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른 무역 갈등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
한국을 포함한 주요 무역국들은 미국의 발표 이후 즉각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국제 경제와 외교적 차원에서의 협력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4월 2일 발표 이후 각국의 대응 전략과 글로벌 무역 시장의 변화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
[힐링경제=김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