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연합뉴스]

서울 강남과 서초 지역에서 올해 초 거래된 아파트 10건 중 3건 이상이 역대 최고가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 부동산 시장의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10일 발표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1~2월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5,983건 중 46.1%에 해당하는 2,759건이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의 최고 가격 대비 90% 이상의 가격에 거래된 것으로 집계됐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서초구는 직전(2006~2024년) 최고가 대비 90% 수준 이상에서 거래가 완료된 비율이 87%로 가장 높았다.

이어서 강남구(86%), 마포구(73%), 용산구(70%), 양천구(65%), 송파구(6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구와 서초구에서는 직전 최고가를 넘어선 거래가 각각 39%와 34%로 집계되어, 10건 중 3건 이상이 가격 전고점을 경신한 셈이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 전용면적 116.92㎡가 지난달 71억원에 거래되어 직전 최고가(62억원)보다 14.5% 상승했으며,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84.99㎡는 40억원에 팔려 직전 최고가(35억1천만원)보다 14.0% 올랐다.

또한 압구정동 현대2차 196.84㎡는 89억5천만원에 거래되어 직전 최고가(83억원)보다 7.8% 높은 가격에 매매가 이루어졌다.

반면 노원구(10%), 도봉구(13%), 강북구(15%), 금천구(15%), 관악구(16%), 성북구(18%) 등은 직전 최고가의 90% 이상 가격에 팔린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지역 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강남3구(서초·강남·송파)나 마용성(마포·용산·성동) 같이 학군, 생활 편의시설, 교통 환경이 뛰어난 지역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는 반면,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가진 지역은 수요가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직방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지역 해제 발표 이후 강남권의 상승세는 더욱 두드러지고 외곽 지역은 여전히 거래가 위축된 상태로, 지역별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서울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인 회복 기미를 보이기보다는 국지적인 상승세가 계속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러한 통계는 부동산 시장이 전체적으로 회복되고 있다기보다 주요 인프라가 잘 갖춰진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서울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힐링경제=박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