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연합뉴스]

다 짓고도 팔리지 않은 '악성 미분양' 주택이 2만3천가구에 육박하며 11년 3개월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건설경기 침체가 심화되는 가운데 주택 공급 선행지표도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건설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28일 발표한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천624가구로, 전월 대비 3.5%(2천451가구) 증가했다.

증가분은 전부 수도권에서 발생했는데, 특히 평택에서 미분양이 대거 발생하며 경기도 미분양(1만5천135가구)이 한 달 새 2천181가구나 늘어났다.

이로 인해 수도권 미분양(1만9천748가구)은 전월보다 16.2%(2천751가구) 증가한 반면, 지방(5만2천876가구)은 0.6%(300가구)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에 가장 많은 미분양이 쌓여 있으며, 대구(8천742가구), 경북(6천913가구), 경남(5천203가구)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인 '악성 미분양'은 지난달 말 2만2천872가구를 기록해 전월보다 6.5%(1천392가구) 증가했다.

이는 2013년 10월(2만3천306가구)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로, 2023년 8월부터 18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목할 점은 지난달 늘어난 악성 미분양의 86%가 지방에서 발생했다는 것이다. 특히 대구 악성 미분양(3천75가구)이 401가구, 부산(2천268가구)은 382가구 증가했다.

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방 미분양 3천가구를 매입하고, 지방 미분양을 사들이는 CR리츠(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를 조속히 출시하겠다는 방안을 2월19일 발표했다.

그러나 업계가 요구해 온 취득세와 양도소득세 완화 등 세제 혜택이 빠진 데다 LH 매입 물량도 적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어서 시장의 반응은 시큰둥한 상황이다.

현재 정치권이 탄핵 국면으로 요동치는 가운데, 정부가 추가 세제 혜택을 제시하더라도 이를 위한 세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를 장담할 수 없어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 올해 들어 삼부토건, 인강건설 등 중견 건설사들이 잇따라 법정 관리를 신청하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상반기 중 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부도·파산하는 건설사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연초 주택 공급 지표 역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1월 주택 인허가는 2만2천452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0% 감소했다.

수도권 인허가(1만5천128가구)는 37.9% 증가했으나, 지방(7천324가구)에서는 50.7%나 감소했다.

1월 주택 착공은 1만178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55.7%나 줄어들었는데, 수도권 착공(3천985가구)이 68.4%, 지방(6천193가구)은 40.1% 감소했다.

1월 분양 역시 7천440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46.2% 감소했다.

다만 준공 실적(4만1천724가구)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5% 증가했는데, 수도권 준공(1만6천32가구)이 19.4% 감소한 반면, 지방(2만5천692가구)은 52.2% 증가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준공이 20.6% 증가한 반면, 비아파트는 37.1% 감소했다.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는 3만8천322건으로 전월보다 16.5% 감소했다.

서울의 주택 매매거래는 1월 5천307가구로 전월 대비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는데, 이 중 아파트 거래가 3천233건으로 전월(3천656건)보다 11.6% 줄었다.

전월세 시장에서도 1월 거래량은 20만677건으로 전월보다 7.9%,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19.0% 감소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이 59.2%로, 전년보다 3.3%포인트 증가하며 60%에 육박했다는 것이다.

특히 전국 비아파트의 월세 거래 비중은 1월 73.7%까지 높아졌으며, 서울은 73.8%, 지방은 79.7%에 달했다.

[힐링경제=박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