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3차 변론 출석 [자료사진=연합뉴스]

2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3차 변론에 윤 대통령이 직접 출석했다.

이날 변론에서 윤 대통령은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 사유들을 부인하며,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된 의혹들에 대해 상세히 해명했다.

윤 대통령은 변론 시작 직후 재판장인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질문에 답변을 내놓으며 본인의 입장을 밝혔다.

문 대행은 먼저 윤 대통령에게 "당시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했는지" 묻자, 윤 대통령은 "없다"고 간단히 답했다.

또한, 문 대행은 윤 대통령에게 "국가 비상입법기구 관련 예산을 편성하라는 쪽지를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준 적이 있는지" 물었고, 윤 대통령은 "그런 쪽지는 준 적 없다"며 "이후 언론에서 나왔던 메모 내용은 부정확하고, 그 내용 자체에 모순이 있는 것 같다"고 반박했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과 관련된 논란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검찰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비상입법기구 창설을 지시한 문건을 전달했다고 주장했으나, 윤 대통령은 이와 관련된 쪽지를 전달한 적이 없다고 강력히 부인했다.

그는 "기사를 통해 이 메모가 보도된 후 내용이 부정확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윤 대통령은 당시 국방부 장관이 구속되어 있었기에 문건을 작성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이어,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의 배경으로 "부정선거론"에 대해 언급하며, 계엄을 선포하기 이전에 선거의 공정성에 대해 의문을 품었던 사실을 인정했다.

그는 "2023년 10월, 국정원이 선거관리위원회 전산 장비 일부를 점검한 결과 문제가 있었다"며 "선거의 공정성을 확인하려는 의도였고, 음모론을 제기하려는 것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을 막기 위해 군을 투입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국회의 의결을 막으려는 의도가 없었으며, 국회가 신속하게 결의를 했지만 이를 막으려고 군을 투입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군을 철수시키는 결정을 내린 것은 그 상황을 바로 보고 나서였다"고 덧붙였다.

탄핵심판 3차 변론이 진행되는 동안 윤 대통령은 "저는 공직 생활을 하면서 자유민주주의의 신념을 확고히 가지고 살아온 사람"이라며, 헌법재판소가 헌법 수호를 위해 존재하는 기관임을 강조했다.

그는 "헌법재판소 재판관들께서 잘 살펴주시기를 부탁드린다"며 발언을 마쳤다.

윤 대통령의 직접 출석은 이날 변론의 핵심 장면 중 하나로, 그는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밝히며 탄핵소추 사유에 대한 반박을 이어갔다.

이번 탄핵심판은 윤 대통령의 정치적 입지에 큰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건으로, 향후 판결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힐링경제=홍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