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연합뉴스]
서울 마포구, 성동구 등 규제지역이 아닌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다시 요동치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이 2주 연속 확대됐다.
서울시가 강남 3구와 용산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했지만 그 외 선호지역의 가격 상승세가 심상치 않은 상황이라 규제지역 추가 지정 카드가 언제 등장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셋째 주(9월 1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2%로 직전 주 대비 0.03%포인트 커졌다. 상승폭은 전주 0.01%포인트 증가한 데 이어 2주째 확대 흐름이 이어졌다.
한강 벨트 비규제지역의 오름폭 확대가 계속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성동구는 0.27%에서 0.41%로 가격 상승폭이 직전 주 대비 0.14%포인트 커졌고, 마포구는 0.17%에서 0.28%로 0.11%포인트, 양천구는 0.10%에서 0.19%로 0.09%포인트 확대되며 서울 전체 상승세를 주도했다.
실제 거래에서도 고가 성사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13일 마포구 염리동 마포자이 전용면적 113㎡가 26억 5천만원에 계약됐고, 14일에는 성동구 행당동 서울숲리버뷰자이 84㎡가 25억 1천만원에 팔리는 등 신고가 거래가 잇따르고 있다.
규제지역인 강남 3구를 끼고 있는 동남권에서도 강남구만 0.15%에서 0.12%로 오름폭이 축소됐을 뿐, 서초구는 0.14%에서 0.17%로, 송파구는 0.14%에서 0.19%로, 강동구는 0.10%에서 0.14%로 모두 확대됐다. 강남 3구와 함께 규제지역으로 묶인 용산구는 0.14%에서 0.12%로 오름폭이 줄었다.
부동산원은 "일부 단지에서 거래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 역세권 등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늘고 상승 계약이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로는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전날 서울시는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강남 3구와 용산구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내년 말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으나, 마포구, 성동구 등 인근 선호지역에 대한 추가 지정은 안건으로 논의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정부가 직권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규제지역을 추가 지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정부는 9·7 부동산 대책을 통해 국토교통부 장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권한을 확대하고자 관련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강 벨트 권역에서 지금과 같은 집값 상승 추세가 계속될 경우 정부가 입법 작업이 완료되는 대로 규제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거론된다.
이재명 대통령도 앞서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끊임없이 초과 수요 또는 투기 수요를 통제해야 한다"며 시장 상황에 따라 수요 억제책이 추가로 등장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확대로 수도권 전체 오름폭도 0.03%에서 0.04%로 직전 주 대비 커졌다. 인천은 보합을 유지했고 경기도는 보합에서 0.01% 상승으로 전환했다.
지방은 -0.02%에서 -0.01%로 하락폭이 직전 주보다 0.01%포인트 줄었다. 5대 광역시(-0.02%)는 동일한 내림폭을 유지했고 세종시는 -0.05%에서 0.10%로 상승 전환했다. 8개 도는 -0.01%에서 0.00%로 보합으로 돌아섰다.
전국 평균 매매가격 상승폭(0.02%)은 직전 주 대비 0.01%포인트 커져 2주 연속 확대됐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3% 상승했다. 서울(0.07%)은 역세권, 학군지 등 주요 단지 위주로 올랐고 인천(0.03%)은 직전 주 대비 상승폭이 0.02%포인트 확대됐다. 경기도(0.03%)는 동일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도권 전체로는 0.04% 상승했고, 지방은 0.01% 올랐다.
이같은 아파트값 상승세는 규제지역과 비규제지역 간 풍선효과가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정부의 추가적인 정책 대응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