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종식 이후 서울시민의 결혼 건수가 2년 연속 증가하고 있지만, 1인 가구가 전체의 40%에 육박하고 황혼 이혼이 급증하는 등 서울 가족 구조가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15일 통계청 인구총조사, 인구동향조사 등 국가승인통계를 바탕으로 혼인·이혼 추이와 가구 구조 변화를 분석한 '서울시민의 결혼과 가족 형태의 변화'를 발표했다.

[자료사진=연합뉴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민의 혼인 건수는 코로나19 유행기인 2020년 4만4천746건에서 2022년 3만5천752건으로 급감했으나, 코로나가 종식된 2023년 3만6천324건으로 반등했다.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16.9% 늘어난 4만2천471건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지속했다.

초혼 평균 연령은 남성 34.3세, 여성 32.4세로 나타났다. 국제결혼은 전체 결혼의 약 10%를 차지했으며, 지난해 서울에서 신고된 국제결혼은 4천6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의 결혼이 2천633건, 외국인 남편과 한국인 아내의 결혼이 1천373건이었다.

이혼 건수는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이혼 건수는 1만2천154건으로, 10년 전인 2014년 1만9천477건과 비교해 큰 폭으로 줄었다.

그러나 평균 이혼 연령은 크게 높아졌다. 지난해 평균 이혼 연령은 남성 51.9세, 여성 49.4세로 2000년(남성 40.8세, 여성 37.4세)보다 10년 이상 상승했다.

특히 60세 이상 황혼 이혼의 증가가 눈에 띈다. 60세 이상 황혼 이혼은 2000년 전체 이혼 건수 대비 3%대를 차지했으나, 지난해는 25% 수준까지 대폭 늘었다.

서울의 가구 구조도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지난해 서울의 1인 가구는 약 166만 가구로 전체의 39.9%를 차지해 가장 보편적 가구 구조로 자리잡았다. 2인 가구는 26.2%, 4인 가구는 12.3%였다.

인구 고령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올해 7월 내국인 기준 서울 전체 인구에서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원 중 1명이라도 65세 이상 가구원이 있는 고령자 가구는 전체의 30%를 넘어섰다.

다문화가구는 약 7만8천 가구로, 가구원 수는 20만명을 넘어섰다.

혼인이나 혈연으로 맺어지지 않은 친구·동료·생활 동반자가 함께 주거를 공유하는 비친족가구도 증가하고 있다. 비친족가구는 2016년 6만여 가구에서 지난해 12만여 가구로 2배 가량 증가했다. 특히 20∼30대 연령층에서 증가세가 뚜렷하다고 시는 설명했다.

반면 영유아 자녀 가구는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가구에 0∼5세 이하 자녀가 1명 이상 있는 영유아 자녀 가구는 2016년 35만여 가구에서 지난해 20만여 가구로 8년 새 40% 이상 줄었다. 같은 기간 영유아 수도 44만여 명에서 24만여 명으로 감소해 저출산 흐름이 뚜렷하게 반영됐다.

한부모가구도 2016년 32만여 가구에서 지난해 28만여 가구로 감소했다.

서울시는 이런 가족의 변화에 대응해 맞춤형 돌봄·주거·복지 정책을 강화하고 다문화·비친족가구를 제도적으로 포용할 정책을 발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변화하는 현실을 반영해 고립·외로움 예방, 청년 주거 안정, 양육친화 환경 조성 등 시민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힐링경제=하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