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앞으로 다가온 수능 [자료사진=연합뉴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55만여 명의 수험생은 12일 예비소집을 통해 수험표를 받고, 시험 유의사항과 응시 절차 등을 안내받는다.
올해 수능은 수험생 수 증가와 의대 모집 인원 축소가 맞물리며 예년보다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부에 따르면 2025학년도 수능은 13일 오전 8시 40분부터 오후 5시 45분까지 전국 1,310개 시험장에서 치러진다.
올해 지원자는 총 55만4,174명으로, 지난해보다 3만1,504명(6.0%) 증가했다. 이는 2019학년도(59만4,924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은 규모다.
응시생 구성을 보면 재학생이 37만1,897명(67.1%)으로 가장 많고, 졸업생은 15만9,922명(28.9%),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는 2만2,355명(4.0%)으로 집계됐다.
재학생과 검정고시 출신 응시자는 각각 전년 대비 9.1%, 11.2% 늘었으나, 졸업생은 1.2% 줄었다.
올해 응시생 증가에는 2007년생, 이른바 ‘황금돼지띠’의 영향이 컸다.
출산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세대가 고3이 되면서 수능 응시 인원이 늘었다. 여기에 지난해 의대 정원 확대에 맞춰 응시했던 졸업생 중 재도전하는 ‘N수생’이 여전히 많은 점도 한몫했다.
다만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이 지난해 증원 전 수준인 3,123명으로 다시 축소되면서, 의대 입시는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는 의대 정원 증원으로 졸업생 응시자가 21년 만에 최다를 기록한 바 있다.
시험 방식은 지난해와 동일하다.
문·이과 구분 없이 국어와 수학 영역에서 공통과목을 치르고, 선택과목을 하나 고르는 구조다.
국어 영역에서는 ‘화법과 작문’을 택한 수험생이 68.4%로 가장 많았으며, ‘언어와 매체’는 31.6%였다. 수학에서는 ‘확률과 통계’가 57.1%로 가장 높은 선택 비율을 보였고, ‘미적분’(39.9%), ‘기하’(3.0%)가 뒤를 이었다.
탐구 영역에서는 사회탐구를 선택한 수험생이 41만1,259명(77.3%)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반면 과학탐구만 선택한 수험생은 12만692명(22.7%)으로 역대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간 유불리 논란이 재점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3월 발표한 ‘2026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을 통해 ‘킬러 문항’(교육과정 밖 초고난도 문제)을 배제하는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수능은 최상위권 학생들의 성적을 가를 적정 난이도의 문제 구성이 변수로 꼽힌다.
수험생 수 증가, 의대 정원 축소, 그리고 평가원의 난이도 조정 기조가 맞물리며 올해 수능은 예년보다 한층 치열한 입시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힐링경제=윤현철 기자]